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입출력
- html
- 귀도 반 로섬
- del()
- Java Script # == # === # difference # 차이
- index()
- 변수와 입출력
- 불리안
- insert()
- a=1
- 성적 입력받기
- append()
- 차집합
- 딥러닝
- 1일차
- false
- 파이썬
- input()
- null # undefined
-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그릇
- 그룹 # 그룹 해체 # 단축키 #figma #Figma
- 합집합
- 부스트캠프
- 조지 불
- 조건문 큰 수부터 입력받아야하는 이유
- 변수
- Python
- pop()
- 리스트와 차이점
- 변할 수 있는
- Today
- Total
목록Algorithm/프로그래머스 (44)
I about me

for문 정리하기 즉, in 뒤에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리스트나 튜플의 형태여야 한다! 그러므로 첫 번째, 이렇게 단순히 in 뒤에 len(str1)을 쓰면 안 되는 것이다..!! 두 번째, 문제에서 "문자열의 크기가 같은"이라고 했다... 그래 그러니까 굳이 이중문을 쓸 필요가 없다....!! 세 번째, 딱 끊기지 않고 계속 더해져야하는 느낌을 더하려면..!! str1 = "aaaaa" str2 = "bbbbb" answer = "" for i in range(len(str1)): answer += str1[i] + str2[i] print(answer) 이렇게 해야한다..! 그렇구나...!

처음에는 이렇게 했었다... def solution(my_string, overwrite_string, s): my_string[s:s+len(overwrite_string)] = overwrite_string answer = my_string return answer solution(He11oWor1d, lloWorl, 2) 뭔가 아는 척하는 어설픈 상태... 와... 어쨌든 완성... 아자아자 힘내라 def solution(my_string, overwrite_string, s): answer = my_string[0:s] + overwrite_string + my_string[s+len(overwrite_string):] return answer
복습 포인트가 되었다... isupper(), islower() i.upper(), i.lower() for문 str = input() for i in str: if i.isupper(): print(i.lower(), end='') if i.islower(): print(i.upper(), end='') 그리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다. swapcase(): 영문 대소문자 상호 전환 str = input() print(str.swapcase())